미국 스테이블코인 혁신법 제정 : 스테이블 코인 Top 5 (2025년 기준)
1. 가장 많이 유통되는 스테이블 코인 Top 5 (2025년 기준)
순위스테이블 코인발행사/주체신뢰수준 요약
1 | Tether (USDT) | Tether Holdings | 시장 점유율 1위, 대규모 유동성. 투명성·준법성 논란 있었으나 최근 감사 강화 및 규제 순응 노력. |
2 | USD Coin (USDC) | Circle, Coinbase | 미국 규제 친화적, 투명한 준비금 공개와 정기 감사. 기관 투자자 신뢰도 매우 높음. |
3 | Dai (DAI) | MakerDAO (탈중앙) | 암호화폐 담보형, 탈중앙화 구조. 투명성 매우 높으나 담보자산 변동성 리스크 존재. |
4 | Ethena USDe (USDe) | Ethena Labs | 파생상품 기반, 빠른 성장세. 신뢰성은 시장에서 검증 중. |
5 | First Digital USD (FDUSD) | First Digital Trust | 홍콩 기반, 성장세 빠름. 일시적 페깅 이탈 이슈 있었으나 규제·투명성 개선 노력 중. |
- USDT: 유동성과 시장 점유율은 압도적이나, 준비금 투명성 논란이 반복적으로 제기됨. 최근 외부 감사 강화로 신뢰도 개선 중.
- USDC: 미국 내 규제와 정기적 감사, 투명한 준비금 공개로 기관·개인 모두에게 신뢰도가 가장 높음.
- DAI: 탈중앙화·스마트컨트랙트 기반으로 투명성은 최고 수준. 다만, 담보 암호화폐의 가격 변동성 리스크 존재.
- USDe, FDUSD: 성장세가 빠르나, 시장 내 검증 기간이 짧아 상대적으로 신뢰 수준이 USDT/USDC에 비해 낮음.
2.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육성을 위한 법적 지원
2.1. 주요 연방 법률
- GENIUS Act(미국 스테이블코인 혁신법, 2025년 제정)
- 발행자 허가제: 연준 인가 예금기관(은행 등)만 발행 가능. 비은행은 주 금융당국 감독.
- 100% 지급준비금 의무화: 발행량만큼 미 달러, 연준 예치금, 미 국채 등 안전자산 보유.
- 정기 회계감사 및 공시: 외부 감사 및 준비금 현황 정기 공개.
- AML/KYC 의무: 자금세탁방지, 고객확인 의무 강화.
- 소비자 보호: 사고 발생 시 상환 절차·페깅 자산 명시 등 보호조항 포함.
- 알고리즘 스테이블코인 신규 발행 제한.
2.2. 감독 체계 및 시장 신뢰성 강화
- 연방 인가 예금기관(대형 발행사)은 연준, OCC 등 연방 감독.
- 비은행·소규모 발행사는 주 정부 감독.
- 투명성 강화: 준비금 내역, 감사 결과 등 정기적 공개 의무.
- 지급준비금·외부 감사·소비자 보호 등 금융 안정성 확보.
2.3. 혁신과 글로벌 경쟁력 지원
- 핀테크·전통 금융기관 모두 진입 허용, 공정 경쟁 유도.
- 디지털 자산 인프라 강화 및 글로벌 결제·송금 확대 지원.
- 스테이블코인 담보로 미 국채·달러 활용, 달러 패권 강화.
한국의 관련주입니다.
3. 요약
- 2025년 기준 가장 많이 유통되는 스테이블 코인은 USDT, USDC, DAI, USDe, FDUSD 순이며, 신뢰수준은 USDC > USDT > DAI > USDe ≈ FDUSD로 평가됨.
- 미국은 GENIUS Act 등 연방 법률을 통해 발행자 자격, 지급준비금, 투명성, 소비자 보호 등 명확한 법적 기준을 마련,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신뢰성과 글로벌 경쟁력을 동시에 강화하고 있음.
댓글
댓글 쓰기